" NIW 승인 났다며? 미국 언제 들어가?"
"어... 문호 때문에 언제 들어갈지 모르겠어."
"문호?? 문호가 뭐야???"
많은 지인들과 이야기를 나누다보면 '문호'에서 막힙니다. 이민에 대해선 들어보았어도 문호를 들어본적이 없는 분들이 대다수이기 때문입니다.
1. 영주권 문호(VISA Bulletin)
영주권 문호는 이민 비자를 발급받기 위한 신청을 할수 있는 시기를 말합니다. 영주권 문호 정보는 매월 15경 이민국의 VISA Bulletin을 통해 공지가 됩니다.
영주권 문호를 확인해야하는 이유는 미국 이민 비자의 종류에 따라 회계년도(Fiscal Year)에 따라 할당되는 비자의 갯수가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취업이민의 경우 2022년 기준으로 연간 14만개로 설정되어 있었으나 코로나로 인해 두배가까이 증가해서 영주권을 발행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트럼프의 반 이민정책으로 줄었다가 바이든의 친이민 정책으로 숫자가 지속적으로 변경하니 영주권 문호를 지켜봐야 합니다.
2. VISA Bulletin 뜯어보기
VISA Bulletin을 뜯어보기에 앞서 몇가지 용어 정리가 필요합니다.
1) Cutoff date : 이민 비자 면접 가능일을 의미합니다.
1) PD(Priority Date) : 우선 승인일자를 의미합니다. PD는 이민 청원서가 이민국에 접수되는 날이며 승인이 나면 이 날짜가 문호표의 기준이 됩니다.
2) Final Action Date : 영주권 번호를 발급할수 있게 되는 기준일(한국에서 진행시 기준 정보)
3) Date of Filing : 미국내에서 신분조정을 하는 사람들이 영주권 접수를 할수 있는 기준일
2024년 4월의 VISA Bulletin에서 NIW 관련 항목을 자세히 보겠습니다.
위 항목을 보면 EB1~5 신청자의 Final Action Date를 볼수 있습니다. 위의 표를 보면 알수 있는것이 국가별로 승인이 되는 시점이 다릅니다. 많은 국가에서 이민을 신청하는데 중국이나 인도, 멕시코, 필리핀의 경우 상대적으로 많은 지원자들로 인해 별도로 관리를 하며 같은 NIW로 승인이 났다 하더라도 대기시간이 훨씬 길어집니다. 예를 들자면 한국 NIW 승인자는 23년도 1월 15일 승인자가 신분조정승인이 나지만 인도의 경우 12년도 4월 15일 승인자가 신분 조정 승인이 가능한 것입니다. 현재시점에서 보자면 한국은 1년 4개월 정도의 대기가 필요했다면 인도는 12년정도의 대기를 해야 신분 조정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표를 보면 날짜 표기와 'C'라고 표시된 부분들을 보실수 있습니다. 이 날짜는 PD 날짜를 기준으로 표기된 것입니다. 풀어말하자면 앞서 I140 청원이 승인이 나면 청원서 접수일을 PD로 공지합니다. 23년 1월 15일 이전 PD를 가지고 계신 분들이 신분 변경 승인이 가능한 상태라고 보시면 됩니다. 또한 'C'로 표기되어 있는 것은 "Current(현재 진행중)"의 의미로 지금 당장 신분 변경이 가능하다는 의미 입니다. 예전에는 EB2도 과거 'C' 상태여서 많은 관심을 받았으나 현재는 1년 반 정도의 대기 시간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영주권 문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i140승인 이후에 얼마나 기다려야 차례가 올런지는 수많은 변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바로 들어가는 것도 좋을수 있겠지만 충실히 준비하고 들어가겠다는 마음가짐으로 즐겁게 준비하시는 분들이 많았으면 좋겠습니다.
'NIW' 카테고리의 다른 글
NIW의 진행과정(I140,I485,DS260,P3,DQ,P4) (0) | 2024.05.15 |
---|---|
WES를 통해 국내 학력인증 받는 법(For Immigration) (0) | 2024.05.06 |
EB2-NIW 를 이해하고 영주권에 도전하기 (1) | 2024.05.01 |
미국 영주권 취득을 위한 방법 - EB1, EB2, EB3, EB4, EB5 (1) | 2024.05.01 |
2024년 NIW로 미국 영주권에 도전 했습니다. - 12일만에 승인됨! (1) | 2024.05.01 |